티스토리 뷰
I. Executive Summary
본 보고서는 현행 대한민국 공무원 채용 및 운영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진단하고, 미래지향적이며 효율적인 공직 사회 구현을 위한 포괄적인 개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시험 중심의 채용 시스템은 경직성, 비효율성, 실질적 역량 검증의 한계, 그리고 잠재적인 소수 카르텔 형성 가능성 등 다양한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또한, 시대에 뒤처진 교육훈련 시스템, 경직된 보수 체계, 공직 윤리 문제 등은 공직 사회의 경쟁력과 국민 신뢰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개혁 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획일적인 필기시험 위주의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직무 역량과 공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면적 선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기에는 구조화된 면접, 역량 및 적성 평가, 그리고 공정성과 투명성이 담보된 AI 기술의 보조적 활용 방안이 포함된다. 둘째, 형식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직무 능력 향상과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표준화된 고품질 OJT 및 공직 교육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현장 중심의 커리큘럼 개발, 전담 교관 및 멘토 확보, 체계적인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 그리고 학습하는 조직 문화 조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셋째, 공직 사회 내 잠재적 카르텔을 혁파하고 청렴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수평적 조직 문화 조성, 정보 공개 확대, 상시 감사 시스템 강화, 내부고발자 보호 강화 등 강력한 내부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과거 부정행위에 대한 엄정한 처벌을 통해 예방 효과를 높여야 한다. 넷째, 증원된 인력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대국민 서비스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 관리 지표 및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우수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직무 가치와 성과를 반영하는 합리적인 급여 체계로 개편해야 한다. 여섯째, 대규모 인력 운용에 필요한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예산 효율화 및 세입 증대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 유지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주요 위법자 처벌 시 국가 기능 유지를 위한 비상 계획도 포함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본 보고서에서 제안하는 개혁 방안들은 한국 공직 사회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능력 중심적이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조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단계별 개혁 로드맵과 핵심 성공 요인을 제시하고, 개혁 동력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 및 홍보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II.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 심층 분석 (질의 1)
가. 시험 중심 채용의 비효율성 및 경직성
현행 한국 공무원 채용 시스템은 5급, 7급, 9급 등 급수별 공개경쟁채용시험(이하 공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시험 중심 시스템은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대규모 인원을 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대 행정 환경이 요구하는 다양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데 있어 심각한 비효율성과 경직성을 드러내고 있다.1
주된 문제점은 시험 과목과 내용이 실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과 괴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시험 과목의 중요도와 실제 업무 활용도 간의 불일치가 지적되고 있으며, 단순 암기 위주의 평가 방식으로는 문제 해결 능력, 소통 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등 복잡한 행정 문제를 다루는 데 필수적인 역량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1 예를 들어, 9급 기술직 공무원 시험에 대한민국 역사와 직접적 관련성이 낮은 북한 정권 수립 과정에 대한 상세한 문제가 출제된 사례 2는 시험 내용이 실제 직무 요구와 동떨어져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러한 출제 경향은 시험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일 수 있으나, 제한된 문항 수 안에서 직무와 더 관련성 높은 내용을 평가할 기회를 놓치게 만들어 비효율을 야기한다. 이는 시험 설계 과정 자체가 실제 현장의 요구보다는 전통적인 시험 방식이나 출제 편의성에 더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시스템의 근본적인 경직성을 반영한다.
또한, 공무원 인적자본 관리의 패러다임이 역량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 현행 시험 제도는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급변하는 행정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필기시험 성적 외에 다양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경직된 시험 구조는 이를 제약하고 있다.
더불어, 공무원 보수 체계 역시 이러한 경직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는 직무의 가치나 성과보다는 근속 연수에 따라 보상이 결정되는 구조로, 능력 있는 인재의 동기를 저하시키고 조직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3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직된 보수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직무 중심 보상체계로의 전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3 시험 중심의 획일적인 선발과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 시스템이 결합되어 공직 사회 전체의 경직성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나. 제한적인 역량 검증
필기시험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공무 수행에 필수적인 다양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데 명백한 한계를 가진다. 리더십, 팀워크,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판단력, 문제 해결 능력, 대국민 봉사 자세 등은 필기시험만으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핵심 역량들이다.
물론 면접 시험이 존재하지만,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많아, 필기시험 성적이 우수하지 않지만 다른 중요한 역량을 가진 인재가 조기에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면접 과정 자체의 구조화 및 평가 기준의 객관성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4
연구들은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공적 가치' 보유 여부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 인사혁신처 역시 공무원 인재상을 '탁월한 직무 전문성 + 공감·소통, 헌신·열정, 창의·혁신, 윤리·책임'으로 재정립하고 이를 채용, 평가 등 인사 과정 전반에 반영하려 하고 있다.5 그러나 현재의 시험 시스템은 이러한 다면적인 역량과 가치를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고, 주로 지식 암기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결과적으로 실제 직무 수행 능력과 잠재력을 갖춘 인재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데 한계가 발생한다.
다. 잠재적 카르텔 형성 가능성 및 투명성 부족
현행 공무원 시스템의 경직성과 폐쇄성은 특정 집단 간의 비공식적 네트워크, 즉 '카르텔' 형성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는다. 제공된 자료에서 시험 과정 자체의 직접적인 담합 증거는 찾기 어렵지만,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이 카르텔 형성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첫째, 특정 대학 출신이나 특정 지역 연고를 중심으로 한 인맥 형성이 문제될 수 있다. 지역인재 할당제와 같은 제도는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긍정적 목표를 가지지만, 부작용으로 특정 학교나 지역 출신들이 공직 내에서 폐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학벌 카르텔'이나 '지역 카르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6 필기시험이라는 객관적인 관문을 통과했더라도, 이후의 승진이나 보직 배치 과정이 불투명하거나 주관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면, 이러한 비공식 네트워크가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커진다.
둘째, 시험 중심의 획일적인 선발 방식은 유사한 배경과 사고방식을 가진 인력 풀을 형성하여, 조직 내 다양성을 저해하고 동질적인 집단 문화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은 내부 비판이나 새로운 아이디어에 폐쇄적이며,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강화시켜 카르텔과 유사한 폐쇄적 이익 집단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가 명확한 정의는 부족하지만 '반(反)카르텔' 기조를 내세우며 공직 사회 개혁을 강조하는 것 7은 이러한 공직 사회 내 기득권 구조와 폐쇄성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정부 부처 관계자들을 '기득권 카르텔'로 보기도 한다.8
셋째, 공직 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이나 인사 운영의 투명성이 부족할 경우, 외부의 감시와 견제가 어려워지고 내부적으로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영향력을 확대할 여지가 생긴다. 카르텔은 본질적으로 정보의 비대칭성과 참여자 간의 신뢰(때로는 폐쇄적인)를 기반으로 유지되는데 9, 공직 사회의 투명성 부족은 이러한 조건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무원 시험 제도의 공정성 이면에 가려진, 임용 이후의 과정에서의 불투명성과 경직성은 비공식적 네트워크나 카르텔이 형성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카르텔 형성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입직 단계의 시험 제도 개선을 넘어, 공직 경력 전반에 걸친 투명성 확보와 실질적인 능력 중심의 인사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III. 공정한 미래 설계: 공무원 선발 방식의 재구상 (질의 2)
현행 시험 중심 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인 공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무원 선발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시험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하면서도 직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공직 가치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면적이고 과학적인 선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가. 필기시험을 넘어서: 대안적 선발 방법 모색
획일적인 필기시험의 대안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조합하여 후보자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 구조화된 면접 및 역량 평가 강화: 면접의 중요성을 강화하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구조화된 면접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4 이는 표준화된 질문, 행동 기반 질문(Behavioral Event Interview), 상황 판단 질문 등을 활용하여 후보자의 과거 경험과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또한, 고위공무원단에서 활용되는 역량평가(Assessment Center) 방식을 5 일반직 공무원 채용에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 싱가포르 공공서비스위원회(PSC)는 엄격한 역량평가센터 운영, 심리검사, 리더십 잠재력과 인성을 평가하는 다단계 심층 면접 등을 통해 우수 인재를 선발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1 이러한 방식은 직무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역량을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데 효과적이다.
- 적성평가(PSAT 등) 활용 및 개선: 공직적격성평가(PSAT)와 같은 적성평가는 특정 과목 지식보다는 인지 능력, 자료 해석 능력, 상황 판단 능력 등 공직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5 현재 5급 및 7급 공채에 도입된 PSAT의 활용을 지속하되, 평가 목표와 직무 연관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필요시 다른 직급이나 직렬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인사혁신처는 PSAT 등 기본 소양 검증 방안을 발전시켜 기관별 채용에서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2023년에 마련할 계획이었다.5
- 인공지능(AI) 기술의 보조적 활용: AI 기술은 서류 전형 효율화, 면접 질문 생성, 면접 영상 분석 등 선발 과정의 일부를 보조하는 도구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진다. 경기도 파주시는 오프라인 인성검사 결과와 AI 기술을 접목하여 조직 적응력 평가를 위한 심층 면접 질문을 생성하고, 면접관에게 참고 자료로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했다.26 경기도교육청은 교육전문직원 선발에 AI 직무적합성평가를 도입하여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역량평가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29 경찰청 또한 채용 절차 개선 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서류 심사 분석, 면접 질문 개발, 면접 응답 분석 등에 AI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30 AI는 표정, 음성 등을 분석하여 긴장도 등을 파악하고, 답변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키워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31 그러나 AI 활용은 효율성 증대 이면에 잠재된 편향성, 투명성 부족, 윤리적 문제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후술).
나. 객관성, 공정성, 그리고 국민 신뢰 확보
새로운 선발 방식을 도입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여 국민적 신뢰를 얻는 것이다 (질의 2). 시험 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들이 오히려 새로운 불공정 시비를 낳아서는 안 된다.
- 명확하고 검증된 평가 기준 수립: 모든 선발 단계(서류, 필기, 면접, 역량평가 등)에 적용될 명확하고 타당성이 검증된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공개해야 한다. 이는 직무 분석에 기반한 역량 모델을 바탕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를 최소화해야 한다. 싱가포르의 표준화된 역량 프레임워크 13는 좋은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 절차적 공정성 및 검증 시스템 구축: 채용 과정 전반에 걸쳐 절차적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4 지원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 과정에 대한 이의 제기 및 검토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면접 과정을 녹화하거나 회의록을 작성하여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4 선발 과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강력한 검증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32
- AI 활용의 공정성 및 윤리 문제 해결: AI를 선발 과정에 활용할 경우, 잠재적인 편향성과 차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29 AI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에 내재된 편향을 그대로 학습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으며 29, 특정 집단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아마존의 AI 채용 도구가 여성 지원자를 차별한 사례 37는 이러한 위험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AI의 판단 근거가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 '블랙박스' 문제는 평가 결과에 대한 수용성을 낮추고 투명성을 저해한다.29 따라서 AI 채용 시스템 도입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편향성 검증 및 완화: 사용되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대한 정기적인 편향성 검증 및 감사, 그리고 편향성을 완화하기 위한 기술적·절차적 장치 마련.35
- 투명성 및 설명 가능성 확보: AI 평가 기준과 주요 판단 근거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지원자와 평가자에게 설명할 수 있는 기술(Explainable AI, XAI) 도입 노력.29
- 인간의 개입 및 최종 결정권: AI는 평가의 보조 도구로 활용하되, 최종적인 선발 결정은 인간 평가자가 책임지고 내리는 시스템 구축.29
- 법적·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 AI 채용 활용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규제와 윤리적 가이드라인 수립.29 미국 일리노이주와 뉴욕시의 관련 법안 37은 참고할 만하다.
- 사회적 약자 배려: 장애인, 고령자, 특정 문화 배경 지원자 등 AI 시스템 활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불리할 수 있는 집단에 대한 고려 및 대안적 평가 방법 제공.29
- 국민 소통 강화: 새로운 선발 방식의 공정성과 타당성에 대해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투명한 정보 공개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국민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대안적 선발 방법 도입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면접에서의 주관성 개입 가능성 4이나 AI의 알고리즘 편향성 29 등은 심각한 위험 요인이다. 따라서 진정한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단순히 시험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도입되는 모든 평가 방법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 검증, 평가 절차의 표준화, 평가자(인간 및 AI)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 투명한 기준 설정, 그리고 독립적인 감사 체계 구축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새로운 제도의 성공은 그 제도가 기존 제도보다 더 공정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실질적으로 입증하는 데 달려있다.
다. 과학적 데이터 기반 직무-인력 매칭
선발 과정에서 얻어진 후보자의 역량, 적성, 잠재력 등에 대한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직무에 배치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질의 2).
- 데이터 기반 분석 및 활용: 후보자 평가 데이터(필기, 면접, 역량평가, AI 분석 결과 등)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분석하여 개인의 강점, 약점, 잠재력 등을 파악한다. 이를 직무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직위의 핵심 요구 역량과 매칭하여 배치함으로써 '적재적소' 인사를 구현한다. 수원시는 신규 공직자의 인·적성검사, 성격유형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직무 적성을 분석하여 부서 배치에 활용할 계획이다.38
- 통합 인사관리 시스템 구축: 인사혁신처가 추진 중인 '행정기관 공동활용 통합채용시스템' 5과 '인재개발플랫폼' 5 등은 이러한 데이터 기반 매칭을 위한 중요한 인프라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채용부터 배치, 육성, 경력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분석하여 과학적 인사 운영을 지원해야 한다. 프랑스에서도 AI를 활용하여 사내 설문조사 분석, 새로운 기술 식별, 승계 계획 지원 등 인사관리를 혁신하려는 움직임이 있다.41
- 데이터 품질 및 프라이버시 확보: 데이터 기반 매칭의 성공은 데이터의 품질과 신뢰성에 달려있다. 부정확하거나 편향된 데이터는 잘못된 매칭으로 이어질 수 있다.41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과정에서 정확성, 일관성,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개인정보보호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데이터 활용에 대한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43
효과적인 데이터 기반 직무-인력 매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상당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 다양한 직무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역량 모델링, 신뢰성 있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체계 구축,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 개인정보보호 규정 준수,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사 담당자의 교육 및 역량 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해야 할 전략적 과제이다.
Table 1: 현행 및 제안된 공무원 선발 방법 비교
평가 방법 | 설명 (현행 활용 vs. 제안된 활용) | 평가 차원 | 장점 | 단점/위험 (공정성, 편향성 포함) | 완화/검증 방안 | 관련 근거 |
지식 기반 필기시험 | 현행: 주요 선발 도구 (5/7/9급 등) / 제안: 비중 축소, 직무 관련성 강화 | 지식 암기 | 대규모 평가 용이, 채점 객관성 | 실제 역량 검증 한계, 고비용 학습 유발, 경직성 | 직무 분석 기반 문항 개발, 실무 연관성 강화, 타 평가 방법과 균형 | 1 |
구조화된 면접 (행동/상황 기반) | 현행: 활용되나 비중/구조화 미흡 가능 / 제안: 비중 확대, 구조화 강화 | 역량 (소통, 문제해결, 윤리 등), 공직 가치, 조직 적합성 | 심층적 역량 평가 가능, 상호작용 평가 | 면접관 주관 개입, 평가 일관성 부족, '면접 스킬' 편중 위험 | 표준화된 질문/평가 기준, 면접관 교육/훈련, 다수 면접관 활용, 기록/검증 강화 | 4 |
역량평가 센터 | 현행: 주로 고위직 대상 / 제안: 중하위직 확대 적용 검토 | 리더십, 문제 해결, 의사결정, 대인관계 등 복합 역량 | 실제 직무 상황 유사 평가, 행동 기반 관찰 | 높은 비용 및 시간 소요, 설계/운영 전문성 요구 | 표준화된 과제/평가 기준, 숙련된 평가자 확보, 단계적 도입 | 5 |
적성평가 (PSAT 등) | 현행: 5/7급 활용 / 제안: 지속 활용 및 개선, 타 직급 확대 검토 | 인지 능력, 자료 해석, 논리적 사고, 상황 판단 | 기본 소양 측정, 특정 지식 의존도 낮음 | 직접적 직무 역량 반영 한계, 시험 유형 학습 가능성 | 문항 타당도 지속 검증, 직무 연관성 고려 | 5 |
AI 기반 스크리닝/평가 | 현행: 일부 기관 시범 도입 / 제안: 보조 도구로 신중히 활용 (공정성 검증 전제) | 서류 적합성, 특정 역량 (언어 분석 등), 성향 (제한적) | 효율성 증대, 대규모 처리 용이, 데이터 기반 분석 가능 | 알고리즘 편향성/차별 위험, 투명성 부족 (블랙박스), 기술 의존성, 윤리 문제 | 편향성 감사/완화, 설명 가능성 확보, 인간 최종 판단, 법/윤리 가이드라인 준수, 사회적 약자 배려 | 26 |
IV. 역량 강화: 표준화된 고품질 OJT 및 평생 학습 시스템 설계 (질의 3)
공무원의 전문성과 직무 수행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입직 초기부터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하고, 경력 전반에 걸쳐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학습을 조직 문화의 핵심 요소로 내재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 표준화된 고품질 OJT 커리큘럼 개발
신규 공무원이 공직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필요한 직무 역량을 조기에 습득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고 품질 높은 OJT(On-the-Job Training)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 역량 기반 설계: 각 직렬 및 직급별 핵심 직무 역량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OJT 커리큘럼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업무 인수인계를 넘어, 해당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체계적으로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 표준화 및 유연성: 기본적인 OJT 프레임워크와 핵심 내용은 표준화하되, 각 부처 및 기관의 특성과 개별 신규 공무원의 배경(경력 채용 등)을 고려하여 내용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실무 중심 및 경험 학습 강조: 이론 전달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실제 사례 연구, 시뮬레이션, 문제 해결 과제(PBL: Problem-Based Learning), 현장 실습 등 경험 기반 학습 방법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구조화된 OJT(S-OJT) 모델에서 강조하는 시연, 실습, 피드백 과정은 실질적인 역량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44
- 콘텐츠 품질 관리: 커리큘럼 내용, 교육 자료, 평가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관리 및 개선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한국행정연구원(KIPA) 등 전문 기관의 연구 및 개발 역량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표준화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할 수 있다.25
나. 전담 교관 및 멘토 확보와 역량 강화
효과적인 OJT 및 교육훈련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우수한 교관과 멘토를 확보하고 이들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선발 및 지정: OJT를 담당할 선임자나 멘토는 해당 직무에 대한 전문성뿐만 아니라, 교육 및 코칭에 대한 열정과 역량을 갖춘 인물 중에서 신중하게 선발해야 한다. 현재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시스템의 문제점 중 하나로 교수 요원 및 교육 관리자의 전문성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49
- 역량 강화 교육: 선발된 교관 및 멘토에게는 성인 학습 원리, 효과적인 교수법, 코칭 및 피드백 기술, 멘토링 기법 등에 대한 전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멘토링의 성공은 멘토의 역량과 멘티와의 관계 형성에 크게 좌우되므로 50, 멘토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 인센티브 및 인정: 교관 및 멘토 활동이 부가적인 업무 부담으로만 여겨지지 않도록, 이들의 노력과 기여를 인정하고 적절한 인센티브(예: 근무평정 가점, 수당 지급, 포상 등)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소방공무원 멘토링 제도의 문제점으로 멘토에 대한 보상 부족이 언급된 바 있다.51
- 멘토링 프로그램 체계화: 공식적인 멘토링 제도를 운영할 경우, 멘토-멘티 매칭 기준을 명확히 하고, 프로그램 목표 설정, 활동 가이드라인 제공, 정기적인 점검 및 지원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비자발적인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50, 멘토링의 긍정적 효과(경력 개발 지원, 사회·심리적 지원 등)를 극대화해야 한다.50
다. 체계적인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
교육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 다단계 평가 모델 적용: 교육훈련의 효과를 단순히 교육 만족도만으로 평가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습 내용 이해도(Learning), 교육 내용의 현업 적용도(Behavior), 그리고 궁극적으로 개인 및 조직의 성과 향상 기여도(Results)까지 측정하는 다단계 평가 모델(예: 커크패트릭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44 현재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평가는 만족도 조사 위주로 이루어져 체계적인 성과 측정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49
- 정기적 피드백 및 환류: OJT 및 교육 과정 중, 그리고 종료 후에 학습자, 교관/멘토, 교육 담당 부서 간 정기적인 피드백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S-OJT 모델에서도 피드백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된다.44
- 인사 시스템과의 연계: 교육훈련 결과와 평가 내용을 개인의 경력 개발 계획, 성과 평가, 보직 관리, 승진 등 인사 관리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연계해야 교육 참여 동기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조직 성과로 이어갈 수 있다.49 현재는 이러한 연계가 부족하여 교육이 단순 요식 행위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라. 학습하는 조직 문화 조성
표준화된 OJT와 교육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학습하는 조직(Learning Organization)'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 리더십의 역할: 조직의 리더가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습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실패를 용인하고 도전을 장려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 솔선수범해야 한다.53
- 지식 공유 및 협력 촉진: 부서 간 칸막이를 낮추고,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공유하며,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문화를 장려해야 한다. 조직 내 원활한 의사소통 채널 확보가 중요하다.53
- 자율적 학습 지원: 공무원 개개인이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간, 예산, 정보 등 자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53
- 학습 활동 인정 및 보상: 업무 시간 중 학습 활동 참여를 보장하고, 학습 성과를 인사 평가 등에 반영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 위험 감수 및 실패 용인: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고, 과정에서의 실수나 실패를 비난하기보다는 학습의 기회로 삼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53 경직된 관료제 문화는 학습과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53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학습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없다. 인사 제도와의 연계, 자원 배분, 리더십의 변화, 조직 구조의 유연화 등 시스템적 변화와 함께 49, 개방성, 심리적 안정감, 상호 존중 등 문화적 토대가 동시에 구축되어야 한다.53 이러한 총체적인 접근 없이는 잘 설계된 OJT나 멘토링 프로그램조차도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거나 지속적인 성과를 내기 어려울 것이다.44
마. 지속적인 현장 연계 및 업데이트
교육훈련 내용이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고 항상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정기적인 직무 분석 및 요구 조사: 변화하는 정책 환경, 기술 발전, 사회적 요구 등을 반영하여 정기적으로 직무 분석을 실시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역량과 교육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현재 교육 계획 수립 시 중장기적 관점과 환경 변화 고려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49
- 현장 전문가 참여: 교육 과정 개발 및 강의에 현장 경험이 풍부한 실무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 피드백 기반 업데이트: 교육 수료생, 현업 부서 관리자 등으로부터 교육 내용의 현장 적용성 및 개선 필요 사항에 대한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커리큘럼 업데이트에 반영해야 한다.
- 기술 변화 대응: 특히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전환 40 관련 기술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업데이트해야 한다.
Table 2: 제안된 OJT 및 학습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목표/설명 | 구체적 실행 방안/특징 | 고려 사항 | 관련 근거 |
커리큘럼 | 역량 기반, 실무 중심, 표준화 및 유연성 확보 | 직무 분석 기반 역량 모델링,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사례 연구/PBL/실습 비중 확대, S-OJT 모델 적용 | 부처별 특성 반영, 지속적 업데이트 필요 | 44 |
교육 방식 | 경험 학습, 참여 유도, 온/오프라인 혼합 | 시뮬레이션, 역할극, 토론, 액션러닝, 블렌디드 러닝(사이버+집합) | 교육 내용 및 대상에 따른 최적 방식 선택 | 44 |
교관/멘토 | 전문성 및 코칭 역량 확보, 동기 부여 | 명확한 선발 기준, 전문 교육(교수법, 코칭, 멘토링), 인센티브 제공, 체계적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멘토 전문성 부족 문제 해결, 자발성 유도 | 49 |
평가/피드백 | 다단계 효과 측정, 지속적 개선 위한 환류 | 커크패트릭 모델 등 적용 (만족도, 학습도, 행동변화, 성과), 정기적 피드백 루프 구축 | 평가 결과의 실질적 활용 방안 마련 | 44 |
학습 문화 | 지속 학습 가치 내재화, 지식 공유, 심리적 안정감 | 리더십 지원/솔선수범, 부서 간 협력 장려, 학습 시간/자원 보장, 실패 용인 문화 조성 | 경직된 관료제 문화 극복, 전사적 노력 필요 | 53 |
인사 연계 | 학습 동기 부여, 성과 연계 강화 | 교육 이수/역량 평가 결과 인사고과, 승진, 보직 관리 반영, 경력개발계획(CDP) 연동 | 공정하고 투명한 연계 기준 설정 | 49 |
기술 활용 | 학습 접근성 및 효율성 제고, 맞춤형 지원 | 학습관리시스템(LMS), 인재개발플랫폼 활용, AI 기반 맞춤형 콘텐츠 추천, 온라인 지식 공유 | 시스템 구축/유지보수, 데이터 관리/분석 역량 | 40 |
V. 신뢰 회복: 카르텔 혁파 및 청렴 문화 정착 전략 (질의 4)
공직 사회에 대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행정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폐쇄적인 카르텔 구조를 혁파하고, 청렴과 윤리가 조직 문화의 근간으로 뿌리내리도록 강력한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부패 행위자를 처벌하는 것을 넘어, 조직 문화 개선, 내부 통제 강화, 그리고 엄정한 책임 추궁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실현될 수 있다.
가. 수평적·투명한 조직 문화 조성
과도한 위계주의와 폐쇄성은 비공식적 네트워크나 카르텔이 형성되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평적이고 투명한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카르텔 혁파와 청렴 문화 정착의 출발점이다.
- 위계주의 타파 및 소통 활성화: 불필요한 의전이나 권위주의적 관행을 개선하고, 직급이나 직위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상호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56 'OO님'과 같은 수평적 호칭 사용 58, 정시 퇴근 문화 정착 ('먼저 간데이', '저녁이 있는 삶' 캠페인 등) 56, 퇴근 후 업무 지시 자제 56 등은 수평적 문화를 촉진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MZ세대는 수평적 소통과 자율성을 중시하므로, 이들의 조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도 위계 문화 개선은 필수적이다.57
- 정보 공유 및 투명성 제고: 업무 관련 정보가 특정 라인이나 부서에 독점되지 않고 투명하게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회의록 공개, 업무 추진 과정의 가시성 확보 등은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협업 및 부서 간 교류 증진: 부서 이기주의를 타파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문화를 장려해야 한다. 부서 간 원활한 협업은 보통 수준이라는 응답 59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기적인 인적 교류나 공동 프로젝트 수행 등은 부서 간 장벽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 강력한 내부 통제 시스템 구축
청렴성을 확보하고 부패 및 카르텔 형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 통제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 정보 공개 확대: 예산 집행 내역(업무추진비 등), 계약 정보, 주요 정책 결정 과정, 회의록 등 국민의 알 권리와 직결되는 정보를 선제적이고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60 이는 외부 감시를 가능하게 하고 내부적으로도 자정 노력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광명시 사례 연구에서는 공문서의 홈페이지 공개 원칙 및 자동 원문 공개 서비스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63
- 상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감사 시스템: 정기 감사 외에도 특정 분야나 이슈에 대한 수시 감사, 성과 감사, 청렴 감사를 강화해야 한다. 감사 결과 및 후속 조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감사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 내부고발 시스템 활성화 및 보호 강화: 내부 비리나 부당 행위를 인지한 구성원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내부고발(공익신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고자 보호를 철저히 해야 한다.
- 접근 가능하고 안전한 신고 채널: 전화, 이메일, 온라인 플랫폼 등 다양한 신고 채널을 마련하고, 익명 신고 및 상담이 가능하도록 보장해야 한다.64 신고 내용 및 신원 비밀 보장은 최우선 원칙이다.64
- 철저한 보호 조치: 신고를 이유로 한 어떠한 신분상 불이익(징계, 부당 전보, 따돌림 등)이나 차별도 금지되며, 불이익 발생 시 즉각적인 시정 조치와 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64 공익신고자 보호법 등 관련 법규에 따른 보호 의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64 필요시 신변 안전 조치도 강구해야 한다.65
- 보상 및 지원: 신고 내용이 사실로 확인되어 공익 증진에 기여한 경우, 적절한 포상금이나 구조금을 지급하여 신고를 장려할 수 있다.64 미국 도드-프랭크법은 과징금의 일정 비율을 포상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를 운영한다.64
- 신뢰 구축: 내부고발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신고자를 철저히 보호한다는 신뢰를 조직 내부에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처리 과정의 투명성 확보와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64
효과적인 내부 통제 시스템은 기술적인 장치 마련만으로는 부족하다. 앞서 강조한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조직 문화가 뒷받침될 때, 구성원들은 시스템을 신뢰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폐쇄적이고 위계적인 문화는 아무리 정교한 통제 시스템이라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화 개혁과 시스템 구축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다.
다. 부정행위에 대한 엄정한 책임 추궁 및 예방 강화
과거의 부정행위에 대해 예외 없이 엄정하게 책임을 묻는 것은 미래의 비리를 예방하는 강력한 신호가 된다.
- 일관되고 엄정한 징계: 금품수수, 공금 횡령·유용, 성 비위, 갑질 등 주요 비위 행위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여 파면, 해임 등 중징계를 포함한 엄정한 징계를 내려야 한다.61 특히 금품 관련 비위에 대해서는 징계 외에 수수액의 최대 5배까지 징계부가금을 부과하여 경제적 불이익을 가중시켜야 한다.67
- 부패 재산 몰수 및 환수 강화: 부패 행위를 통해 불법적으로 취득한 재산은 관련 법률(부패재산의 몰수 및 회복에 관한 특례법 68, 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 68)에 따라 철저히 몰수·추징하여 범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인식을 확립해야 한다. 이는 부패 행위에 대한 강력한 예방 효과를 가진다.69 몰수·추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기소 전 보전 조치를 확대하고, 은닉 재산 추적을 위한 조사권 및 금융거래 조회권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0
- 형사 처벌: 징계 책임 외에도 사안의 중대성에 따라 형사 고발 등 법적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여 형사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검찰, 공수처 등 수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71
- 예방 교육 강화: 처벌 강화와 더불어 청렴 교육을 강화하여 공직자들의 윤리 의식을 제고하고 부패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61 특히 간부급 공무원의 솔선수범과 교육 참여가 중요하다.61
단순히 처벌 수위를 높이는 것만으로는 부패를 근절하기 어렵다. 윤석열 정부의 '반카르텔' 기조 7 역시 명확한 정의와 시스템 개혁 없이 단순한 처벌 강화에만 집중할 경우,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처벌 강화는 반드시 투명성 제고, 내부 통제 강화, 조직 문화 개선 등 부패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과 병행되어야 장기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부패 행위의 기회 자체를 줄이고, 부패를 저지르려는 동기를 약화시키며, 적발 가능성을 높이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Table 3: 반부패 및 청렴도 제고 조치 요약
구분 | 구체적 실행 방안 | 카르텔 혁파/청렴도 제고와의 연관성 | 실행 고려 사항 | 관련 근거 |
문화 개혁 | 수평적 조직 문화 조성 (위계 타파, 소통 활성화, 상호 존중) | 폐쇄적 네트워크 형성 억제, 내부 고발/자정 작용 촉진 | 리더십의 의지, 구성원 인식 변화, 지속적 노력 필요 | 56 |
청렴 교육 강화 (윤리 의식 제고, 행동 강령 내재화) | 부패 행위 예방, 청렴 가치 공유 | 간부급 솔선수범, 실효성 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 61 | |
내부 통제 | 정보 공개 확대 (예산, 계약, 회의록 등) | 투명성 증대, 외부 감시 강화, 내부 통제 강화 | 공개 범위/기준 설정, 시스템 구축 | 60 |
상시/불시 감사 강화 (청렴 감사 포함) | 비리 적발 가능성 증대, 예방 효과 | 감사 인력/전문성 확보, 독립성 보장 | 64 | |
내부고발 시스템 활성화 (채널 다양화, 익명성 보장) | 내부 비리 조기 인지 및 차단 | 시스템 신뢰성 확보, 신고 처리 역량 강화 | 64 | |
내부고발자 보호 강화 (비밀 보장, 불이익 금지, 신변 보호) | 신고자 불안감 해소, 신고 활성화 |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및 철저한 이행 | 64 | |
책임성 강화 | 비위 행위자 엄정 징계 (무관용 원칙, 징계부가금) | 부패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 및 경고 | 징계 기준의 공정성/일관성 확보 | 61 |
부패 재산 몰수/환수 강화 (기소 전 보전, 조사권 강화 검토) | 범죄 수익 박탈, 예방 효과 극대화 | 법적 근거 명확화, 집행 효율성 제고, 재산권 침해 논란 고려 | 68 | |
형사 책임 추궁 | 중대 비리에 대한 사법적 처벌 | 수사기관과의 협력, 증거 확보 | 71 |
VI. 성과 측정: 인력 증원의 효과성 및 서비스 개선 평가 (질의 5)
공무원 증원이 단순히 인력 규모 확대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업무 효율성 향상과 대국민 서비스 질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성과 관리 지표 개발이 필수적이다.
가. 효율성 및 서비스 개선 효과 측정 방법론
인력 증원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양적·질적 지표를 균형 있게 활용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관점 활용: 재무적 관점(비용 효율성), 고객 관점(서비스 만족도), 내부 프로세스 관점(업무 효율성), 학습과 성장 관점(직원 역량)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틀을 적용할 수 있다.
- 투입-과정-산출-결과 분석: 인력 증원(투입)이 업무 처리 과정(과정)의 효율성 개선(예: 처리 시간 단축, 오류율 감소)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서비스 제공량 증가(산출) 및 궁극적으로 서비스 질 향상과 국민 만족도 제고(결과/영향)로 연결되는지를 단계별로 추적하고 분석해야 한다.72
-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의 조화: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나는 정량 지표(예: 처리 건수, 소요 시간, 예산 절감액)와 함께, 서비스 경험이나 인식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지표(예: 심층 인터뷰, 사례 분석, 전문가 평가)를 병행하여 평가의 깊이를 더해야 한다.73
- 사전-사후 비교 분석: 인력 증원 정책 시행 전후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정책의 순수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책 시행 전 충분한 베이스라인 데이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 정보시스템 성과측정 모델 응용: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측정에서 활용되는 비용 측면(운영 적정성, 유지 용이성, 비용 효율성)과 업무 측면(업무수행 영향도, 사용 편의성, 목표 달성도)의 측정 지표 및 분석 틀은 공공서비스 효율성 측정에도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74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에 투입되는 인건비 대비 서비스 산출량이나 품질 변화를 분석하여 비용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나. 성과 관리 지표(KPI) 개발
측정 방법론에 기반하여, 인력 증원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개발해야 한다. KPI는 SMART 원칙(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72
- 내부 효율성 지표:
- 1인당 업무 처리량 변화
- 업무 처리 소요 시간 단축률
- 업무 오류 발생률 감소
- 초과근무 시간 감소율
- 단위 서비스 제공 비용 변화
- 대국민 서비스 품질 지표:
- 민원 처리 기간 단축률
- 민원 만족도 (PCSI 등 활용) 75
- 서비스 접근성 개선도 (예: 대기 시간 감소, 온라인 서비스 이용률 증가)
- 정보 제공의 정확성 및 충분성 개선도
- 정책 목표 달성도 (예: 특정 사회 문제 해결 기여도)
- 지표 설정 시 고려사항:
- 기관 및 업무 특성 반영: 모든 기관에 획일적인 지표를 적용하기보다는, 기관의 미션과 비전, 담당 업무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핵심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해야 한다.79
- 결과 및 영향 중심: 단순한 활동량이나 산출량보다는, 정책이나 서비스가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Outcome)와 영향(Impact)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72
- 측정 가능성 및 데이터 확보 용이성: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며, 관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해야 한다.72
인력 증원의 효과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더 많은 일'을 했는가를 넘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했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즉, 산출량(Output) 증가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질적 개선(Quality)과 국민이 체감하는 가치(Outcome/Impact)를 측정하는 KPI 개발이 핵심이다. 이는 서비스의 적시성, 정확성, 접근성, 대응성 등 다양한 품질 차원을 포괄해야 하며,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와 연계하여 평가될 필요가 있다.
다. 내부 운영 데이터와 외부 피드백의 통합적 활용
성과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관리되는 운영 데이터와 외부 이해관계자(특히 서비스 이용 국민)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내부 데이터: 업무 관리 시스템 로그, 예산 집행 기록, 내부 감사 자료 등을 통해 업무 처리량, 소요 시간, 비용 효율성 등 내부 운영 효율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한다.74
- 외부 피드백: 공공기관 고객만족도조사(PCSI) 75, 특정 서비스 이용자 대상 만족도 조사, 민원 분석, 전문가 집단 심층 면접(FGI), 공청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에 대한 외부의 목소리를 수집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등 일부 기관은 고객의 소리(VOC) 시스템을 운영하여 고객 불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76
- 통합 분석: 내부 효율성 지표와 외부 만족도 지표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효율성 개선이 실제 서비스 품질 향상과 국민 만족도 제고로 이어졌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인력 증원으로 민원 처리 시간이 단축되었지만(내부 효율성 개선), 처리 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오히려 하락했다면(외부 만족도 저하), 그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때로는 내부 효율성 지표(예: 1인당 상담 시간 단축)와 외부 만족도 간에 상충 관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가 체계는 이러한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균형 잡힌 시각에서 성과를 판단해야 한다.
Table 4: 인력 증원 효과 측정을 위한 성과 및 서비스 품질 KPI (예시)
성과 차원 | 예시 KPI | 측정 방법/데이터 출처 | 기준선 측정 | 변경 후 목표 | 개혁 목표와의 연관성 | 관련 근거 |
내부 효율성 | 1인당 월평균 민원 처리 건수 | 업무 관리 시스템 통계 | 증원 전 1년 평균 | 증원 후 1년 평균 X% 증가 | 업무량 증가 대응, 효율성 향상 | 72 |
평균 민원 처리 소요 시간 | 업무 관리 시스템 통계 | 증원 전 대비 Y% 단축 | 증원 후 1년 평균 Y% 단축 | 신속한 서비스 제공 | 74 | |
업무 처리 오류율 | 내부 감사/점검 결과 | 증원 전 대비 Z% 감소 | 증원 후 1년 평균 Z% 감소 | 서비스 정확성 제고 | 79 | |
서비스 품질 (적시성) | 민원 처리 법정 기한 준수율 | 업무 관리 시스템 통계 | 95% | 98% 이상 유지 | 법규 준수, 신뢰도 향상 | 72 |
서비스 품질 (정확성) | 재민원 발생률 (동일 사안) | 민원 관리 시스템 분석 | 증원 전 대비 A% 감소 | 증원 후 1년 평균 A% 감소 | 서비스 완결성 제고 | 72 |
국민 만족도 | 해당 서비스 분야 PCSI 만족도 점수 | 기재부 주관 PCSI 조사 결과 | 증원 전 점수 | 증원 후 B점 이상 상승 | 대국민 서비스 질 개선 체감 | 75 |
특정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 점수 | 자체 설문조사 (전화/온라인 등) | 증원 전 점수 | 증원 후 C점 이상 상승 | 맞춤형 서비스 개선 | 76 | |
비용 효과성 | 단위 서비스 처리 비용 (인건비 포함) | 예산 집행 데이터 / 업무량 통계 | 증원 전 비용 | 증원 후 D% 이내 증가 또는 감소 | 재정 효율성 확보 | 74 |
VII. 우수 인재 확보 및 동기 부여: 합리적 급여 체계 개편 방안 (질의 6)
우수한 인재를 공직에 유치하고, 재직 중인 공무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며 핵심 인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경직된 보수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하는 것이 시급하다. 개편의 핵심 방향은 연공서열 중심에서 벗어나 직무의 가치, 개인의 역량 및 성과를 보다 충실히 반영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데 있다.
가. 현행 보수 체계의 문제점 분석
현재 한국 공무원 보수 체계는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연공서열 중심 및 경직성: 호봉제 중심의 보수 체계는 근속 연수에 따라 보수가 자동 상승하는 구조로, 개인의 능력이나 성과, 담당 직무의 중요도나 난이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3 이는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원칙에 부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성과 창출에 대한 동기 부여를 약화시킨다.
- 낮은 보수 수준 및 민간과의 격차: 특히 하위 직급이나 입직 초기 공무원의 보수 수준이 민간 기업, 특히 대기업에 비해 낮다는 인식이 팽배하다.82 인사혁신처가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 지표도 10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민간 부문과의 격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84 이러한 낮은 보수 수준은 우수 인재 유치 및 유지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특히 높은 생활비 부담을 느끼는 젊은 세대 공무원들의 사기 저하 및 이직 요인이 될 수 있다.57 2022년 기준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83.1%에 머물렀다.85
- 성과급 제도의 실효성 및 공정성 논란: 성과급 제도가 운영되고는 있으나, 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불신, 개인 간 경쟁 심화로 인한 협력 저해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81 성과 평가 시스템 자체의 신뢰성 확보가 선결 과제이다.34
- 동기 부여 기능 미흡: 현재의 보수 체계가 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이나 역량 향상 노력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자기 계발에 대한 동기 부여 기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81
나. 합리적 보수 체계 개편 방향
현행 보수 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직의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편을 추진해야 한다.
- 직무 가치 및 성과 반영 강화: 연공서열 요소를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책임 등을 평가하여 보수에 반영하는 직무급적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3 또한, 개인 및 조직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보상과 연계하는 성과주의 보수 시스템을 실질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연구에서는 직무, 역량, 성과 기반 보수를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대안으로 직무 등급제 도입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81
- 하위직 및 저호봉 공무원 처우 개선: 공직 입직 초기의 낮은 보수 수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하위 직급 및 저호봉 공무원의 기본급을 상대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81 이는 청년 인재 유치 및 조기 이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 유연한 보수 체계 도입 검토: 경직된 호봉제 대신, 보다 넓은 보수 범위를 설정하고 그 안에서 개인의 역량과 성과에 따라 보수를 유연하게 결정하는 직무 등급제나 브로드밴딩(Broadbanding) 제도 도입을 장기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3 이는 개인의 성장과 성과에 따른 보상 차등화를 가능하게 하여 동기 부여를 강화할 수 있다.
- 성과 관리 시스템과의 연계 강화: 성과 기반 보상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성과 평가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34 평가 결과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그 결과가 보상과 명확하게 연계될 때 구성원들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경쟁보다는 협력을 장려하고 장기적인 관점과 내재적 동기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성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81
- 총액인건비 제도 내 자율성 확대: 각 부처가 총액인건비 범위 내에서 기관의 특성과 인력 구조를 고려하여 보다 자율적으로 보수 체계를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81
공무원 보수 체계 개편은 단순히 민간 기업 수준으로 급여를 인상하는 것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특히 민간, 그중에서도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 82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재정적 제약(VIII장 참조) 하에서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개혁은 전략적이어야 한다. 특정 직무(예: 전문 기술직, 핵심 관리직)나 하위 직급에 대한 선별적 처우 개선, 성과에 따른 보상 차등화 강화 81, 그리고 급여 외적인 요소, 즉 도전적인 업무 기회, 성장 가능성, 수평적이고 유연한 근무 환경 56, 학습 및 발전 기회(IV장 참조) 등을 강화하여 공직의 전반적인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성과 기반 보상 시스템 도입 81은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공정하고 투명하며 신뢰받는 성과 관리 시스템 34이 전제되지 않은 성과급 확대는 오히려 구성원 간의 갈등을 유발하고 협력 문화를 저해하며, 평가 결과에 대한 불만을 증폭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81 따라서 보수 체계 개편은 반드시 성과 평가 시스템의 개선과 병행되어야 한다.
다. 보수 결정 과정의 공정성 및 투명성 확보
보수 체계 개편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정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명확한 기준 설정 및 공개: 직무 가치 평가, 역량 수준 평가, 성과 평가 등 보수 결정의 기준과 방식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이를 구성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 독립적인 보수 결정 기구 운영 검토: 보수 수준 및 체계 개편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전문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노사정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적인 '공무원 보수위원회' 설치 및 운영을 검토할 수 있다.81
- 구성원 의견 수렴 및 소통 강화: 보수 체계 개편 과정에서 공무원 노동조합을 포함한 내부 구성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개편 내용과 배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VIII. 지속가능성 확보: 재정 계획 및 비상 계획 수립 (질의 7)
대규모 공무원 인력 증원 및 운영 시스템 개혁은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수반한다. 따라서 개혁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 마련 방안과 함께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 유지 계획, 그리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한 비상 계획 수립이 필수적이다.
가. 안정적 재원 확보 방안: 예산 효율화 및 세입 증대
공무원 증원 및 관련 시스템 개혁에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 예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세입원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 지출 구조조정 및 예산 효율화: 모든 정부 사업과 기능에 대한 성과 평가를 강화하고, 효과성이 낮거나 중복되는 사업, 불요불급한 지출은 과감하게 구조조정하여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87 공공 부문의 비효율을 제거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감축 관리가 필요하다.90 부처 간 협업 예산 편성을 통해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89 예산 성과금 제도 등을 활용하여 예산 절약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88
- 세입 기반 확충: 기존 세원의 누수를 막고 탈루 소득을 양성화하는 등 세정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경제 성장 친화적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세입원을 발굴하거나 세율 조정을 검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득세·법인세 최고세율 인상 89, 특정 목적세(예: 소방안전교부세 재원인 담배 개별소비세 조정 91) 조정, 공공 서비스 관련 수수료 현실화 88 등이 잠재적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세입 증대 방안은 조세 저항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 자체 수입 증대 노력 (공공기관): 정부 출연 기관 등은 보유 자산의 효율적 활용, 수익 사업 발굴 등을 통해 자체적인 세입 증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88
- 장기적 비용 추계 및 재원 계획: 공무원 증원은 인건비뿐만 아니라 연금 부담금, 사회보험료, 관련 경비 등 막대한 장기 재정 소요를 유발한다.94 따라서 단기적인 예산 확보를 넘어, 향후 수십 년간의 총비용을 정확히 추계하고 99,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장기 재원 마련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나. 장기 재정 건전성 유지 전략
단기적인 재원 확보를 넘어, 국가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 재정준칙 도입 및 준수: 국가 채무 증가 속도를 관리하고 재정 운용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적 구속력 있는 재정준칙(예: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또는 재정수지 적자 비율 상한 설정)을 도입하고 이를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89 재정준칙은 예외적인 경제 위기 상황에 대한 면제 또는 완화 요건을 포함하여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89
- 장기 재정 전망 및 관리: 저출산·고령화 심화 102, 연금 등 의무 지출 증가 98, 잠재 성장률 둔화 102, 통일 비용 102 등 중장기 재정 위험 요인을 고려한 장기 재정 전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제적인 재정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재정 운용의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 예산 편성 및 집행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재정 운용 결과에 대한 성과 평가와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103
대규모 인력 증원을 포함한 공공 부문 개혁은 필연적으로 재정 부담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예산을 효율화하고 세입을 늘리는 기술적인 접근을 넘어, 정부의 역할과 기능 범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어떤 서비스를 국가가 직접 제공하고 어떤 부분을 민간 위탁이나 다른 방식으로 전환할지 90 등을 포함한 전략적 선택을 통해, 공무원 인력 규모를 지속 가능한 재정 능력 범위 내에서 관리하는 거시적인 관점이 요구된다.102
다. 국가 기능 유지를 위한 비상 계획 (Contingency Plan)
질의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주요 위법 행위에 연루된 공직자에 대한 대규모 사법 처리나 징계가 이루어질 경우, 특정 부처나 기관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비한 비상 계획(Contingency Plan), 즉 업무 연속성 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 수립이 필요하다.
- 핵심 기능 및 필수 인력 식별: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핵심 기능(Critical Functions)과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 필수 인력(Essential Personnel)을 사전에 식별하고 지정해야 한다.
- 업무 연속성 계획(BCP) 수립 및 적용: 일반적인 재난·재해 상황에 대비한 BCP 원칙 105을 공직자 대규모 이탈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계획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권한 위임 및 직무 대행 절차: 지휘 공백 발생 시 신속하게 권한을 위임하고 직무를 대행할 수 있는 명확한 절차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관련 규정(예: 상황실 운영 규정 등)에 직무 대행 관련 조항이 존재한다.108
- 대체 인력 확보 방안: 필수 기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대체 인력(예: 타 부처 지원 인력, 퇴직 공무원, 예비 인력 풀)을 확보하고 비상시 즉시 투입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지식 관리 및 이전: 핵심 인력 부재 시에도 업무가 지속될 수 있도록 중요 업무 매뉴얼, 데이터,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비상 연락 및 지휘 통제 시스템: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상황 전파, 의사 결정, 지휘 통제를 위한 비상 연락망 및 통신 시스템(예: 국가지도통신망 108)을 확보하고 유지해야 한다.
-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중요 행정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백업 및 비상시 복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107
- 정기적인 훈련 및 계획 업데이트: 수립된 비상 계획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기적인 모의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결과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계획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107
기존의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 108은 주로 외부적 위협(안보, 재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질의에서 제시된 '대규모 공직자 처벌'이라는 내부적 요인으로 인한 기능 마비 시나리오는 기존 위기관리 매뉴얼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따라서 BCP 원칙 105을 이러한 특수한 내부적 위협 상황에 맞게 적용하고, 핵심 기능 식별, 지식 관리, 권한 승계 및 대체 인력 확보 방안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단순히 계획 수립에 그치지 않고, 실제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준비와 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IX. 개혁의 길: 단계별 로드맵 및 실행 전략 (질의 8)
본 보고서에서 제안된 공무원 인사 시스템 개혁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복잡하고 방대한 과제이다. 성공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로드맵 수립, 핵심 성공 요인 관리, 그리고 효과적인 소통 전략이 필수적이다.
가. 단계별 개혁 로드맵
개혁 과제의 우선순위, 실행 가능성, 과제 간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별 로드맵을 제안한다. 각 단계는 중첩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조정될 필요가 있다.
Table 5: 공무원 인사 시스템 개혁 단계별 로드맵 (안)
단계 | 기간 (예상) | 주요 활동/개혁 과제 | 기대 성과/마일스톤 | 주관 기관 (예시) | 핵심 성공 요인 | 잠재적 도전 과제 | 관련 근거 |
1단계: 진단 및 설계 | 1~2년 | - 현행 시스템 심층 진단 (문제점, 비효율성) <br> - 직무 분석 및 역량 모델링 프레임워크 개발 <br> - 대안적 선발 방식(면접, 역량평가, AI 등) 연구 및 파일럿 설계 <br> - OJT/교육 시스템 개선 방향 및 표준 커리큘럼 초안 개발 <br> - 성과 관리 지표 및 평가 방법론 연구 <br> - 보수 체계 개편 대안 연구 <br> - 재정 소요 추계 및 재원 확보 방안 기초 연구 <br> -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및 공감대 형성 시작 | - 개혁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br> - 역량 모델 프레임워크 확정 <br> - 선발/교육/평가/보상 개편 기본 방향 설정 <br> - 파일럿 프로그램 계획 수립 | 인사혁신처, 기획재정부, 각 부처, 연구기관(KIPA 등) | 강력한 리더십, 전문가 참여, 데이터 기반 분석, 초기 이해관계자 참여 | 기존 관행 저항, 부처 간 이견, 데이터 부족 | 5 |
2단계: 파일럿 및 기반 구축 | 2~4년 | - 일부 직렬/기관 대상 신규 선발 방식 파일럿 운영 및 평가 <br> - 표준 OJT 커리큘럼 시범 적용 및 교관/멘토 양성 <br> - 통합 인사 정보 시스템(채용, 교육, 평가 연계) 구축 착수 <br> - 성과 관리 시스템 개선 (평가 공정성/투명성 강화) <br> - AI 활용 윤리 가이드라인 및 검증 체계 마련 <br> - 내부 통제 강화 (정보 공개 확대, 내부고발 시스템 개선) <br> - BCP 수립 및 훈련 (대규모 인력 이탈 시나리오 포함) | - 신규 선발 방식 타당성 검증 및 개선안 도출 <br> - 표준 OJT 효과성 확인 <br> - 통합 인사 시스템 기반 마련 <br> - AI 활용 리스크 관리 방안 구체화 <br> - 강화된 내부 통제 시스템 운영 시작 | 인사혁신처, 각 부처, 감사원, 권익위, 과기정통부 | 파일럿 결과의 객관적 평가, 기술 인프라 구축, 법/제도 정비, 부처 협력 | 기술적 난제, 예산 확보 어려움, 구성원 수용성 문제 | 26 |
3단계: 단계적 확대 적용 | 4~7년 | - 검증된 신규 선발 방식 단계적 확대 적용 <br> - 표준화된 OJT 및 교육 시스템 전면 시행 <br> - 통합 인사 정보 시스템 본격 운영 및 데이터 활용 <br> - 성과 기반 보수 체계 요소 단계적 도입 (예: 저호봉 인상, 성과급 비중 조정) <br> - 수평적 조직 문화 확산 노력 강화 <br> - 재정 건전성 관리 강화 (재정준칙 적용 등) | - 개선된 선발/교육 시스템 정착 <br> - 데이터 기반 인사 운영 활성화 <br> - 보수 체계 합리성 제고 <br> - 조직 문화 변화 체감도 증가 <br> - 안정적 재정 기반 위 개혁 추진 | 전 부처, 인사혁신처, 기획재정부 | 지속적인 정치적 지원, 충분한 예산 확보, 변화 관리 역량, 노조 등 이해관계자 협력 | 개혁 피로도 누적, 예상 못한 부작용 발생 | 81 |
4단계: 모니터링 및 최적화 | 지속 | - 개혁 효과 상시 모니터링 및 평가 (KPI 활용) <br> - 평가 결과 기반 지속적인 제도 개선 및 최적화 <br> - 환경 변화(기술, 사회)에 따른 시스템 업데이트 <br> - 학습 조직 문화 심화 및 내재화 <br> - 장기 재정 건전성 점검 및 관리 | - 개혁 성과의 지속적 향상 <br> - 변화 대응 능력 강화 <br> - 학습하는 정부 구현 | 전 부처, 인사혁신처,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 평가 시스템의 신뢰성, 피드백 환류 체계, 장기적 비전 공유 | 관료주의 회귀 가능성, 개혁 동력 약화 | 53 |
나. 핵심 성공 요인 (CSFs)
제안된 개혁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 강력하고 지속적인 정치적 리더십: 공무원 인사 시스템 개혁은 기존의 관행과 기득권에 도전하는 복잡하고 민감한 과제이므로, 최고 리더십의 강력한 의지와 지속적인 관심, 지원이 필수적이다.
- 충분한 재정 및 인적 자원 확보: 개혁 과제 추진에는 상당한 예산과 전문 인력이 요구된다. 특히 시스템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성과 평가, AI 기술 도입 및 검증 등에 필요한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 효과적인 변화 관리 전략: 공무원 사회 내부의 저항이나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개혁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변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개혁의 필요성과 비전을 명확히 공유하고, 변화 과정에 구성원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이해관계자 참여 및 협력: 공무원 노조, 학계 전문가, 시민 사회, 국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고 개혁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는 청년 등 국민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창구를 운영한 바 있다.116
- 데이터 기반의 증거 기반 정책 결정: 개혁 방안의 설계, 실행, 평가 전 과정에서 객관적인 데이터와 증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 측정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정·보완해 나가야 한다.
- 기술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역량: AI, 빅데이터 분석, 통합 인사 시스템 등 개혁에 필요한 기술 인프라를 적시에 구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무원 및 전문가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다.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 및 홍보 전략
개혁의 성공은 국민적 지지와 신뢰 없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혁의 전 과정에 걸쳐 투명하고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 및 홍보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 개혁의 필요성 및 비전 공유: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혁이 왜 필요한지, 개혁을 통해 궁극적으로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지를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한다. '더 유능하고 청렴하며 국민에게 봉사하는 공직 사회'라는 긍정적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 투명한 정보 공개: 개혁 추진 계획, 진행 상황, 예상 효과, 재정 소요 등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 다양한 소통 채널 활용: 정부 브리핑, 언론 보도, 소셜 미디어, 공청회, 간담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 맞춤형 메시지 전달: 개혁 내용에 따라 영향을 받는 대상(예: 공무원 시험 준비생, 현직 공무원, 일반 국민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들의 우려 사항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성공 사례 홍보 및 성과 가시화: 개혁을 통해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와 성공 사례(예: 채용 공정성 강화, 서비스 개선 사례, 예산 절감 효과 등)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개혁의 효능감을 높이고 지속적인 지지를 확보해야 한다.
단순히 정책을 발표하는 일방적인 홍보가 아니라, 개혁 과정 초기부터 국민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제기되는 우려와 비판에 대해 진솔하게 설명하며, 피드백을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개혁 과정 자체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잠재적 저항을 관리하며, 장기적인 개혁 추진 동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전략적 활동이다.
X. 결론
대한민국 공무원 인사 시스템은 국가 발전과 행정 서비스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 기반이다. 그러나 현재 시험 중심의 획일적 채용, 경직된 조직 운영, 시대에 뒤처진 교육훈련, 합리성이 부족한 보상 체계, 그리고 청렴성에 대한 도전 등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공직 사회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신뢰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미래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하고 청렴하며 국민에게 봉사하는 공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포괄적인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은 ① 선발 방식의 혁신 (시험 의존도 축소, 역량 중심 다면 평가 도입, AI 기술의 신중한 활용), ② 인적 자원 개발 시스템 고도화 (표준화된 실무 중심 OJT, 체계적 멘토링, 평생 학습 문화 조성), ③ 조직 문화 및 청렴성 강화 (수평적 소통, 강력한 내부 통제, 엄정한 책임 추궁), ④ 성과 관리 체계 과학화 (효과성 중심 KPI 개발, 객관적 평가 방법론), ⑤ 합리적 보상 시스템 구축 (직무/성과 반영 강화, 공정성/투명성 확보), 그리고 ⑥ 지속가능성 확보 (안정적 재정 관리, 비상 대비 계획)이다.
이러한 개혁 과제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접근이 아닌 총체적이고 시스템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특히, 기술(AI, 데이터 분석)의 도입은 효율성 제고의 잠재력을 가지지만, 공정성, 투명성, 윤리적 문제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개혁의 근저에는 '사람' 중심의 철학이 자리해야 한다. 공무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이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국민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개혁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제안된 개혁 로드맵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하며,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 충분한 자원 투입, 이해관계자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 그리고 지속적인 평가와 환류를 통한 유연한 조정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비록 개혁의 과정이 어렵고 많은 도전 과제에 직면하겠지만, 미래 대한민국 행정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길이다. 본 보고서가 그 길을 밝히는 데 의미 있는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XI. 참고 자료
1
참고 자료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 RISS 검색,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57172f07b32c1d74884a65323211ff0
- 9급 기술직 공무원 시험에 北정권 수립 과정을 왜 묻나 - 펜앤마이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5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 RISS 검색,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d5d632b160addff14884a65323211ff0
- 지방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 네이버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gri_blog/222642835808
-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인사혁신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president.go.kr/download/63d36e4cf1e05
- 지역 할당제 (r297 판) - 나무위키:대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A7%80%EC%97%AD%20%ED%95%A0%EB%8B%B9%EC%A0%9C?rev=297
- 카르텔 향한 어퍼컷, 전 부처의 검찰화? - 시사IN,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706
- '그림자 통치'와 기득권 카르텔 - 에큐메니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m.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16
- 적법절차 원리에 비추어 본 현행 자진신고자 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 - 법무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j.go.kr/bbs/moj/164/205176/download.do
- 고위공무원단 제도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 인사혁신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pm.go.kr/board/file/bbs_0000000000000120/12/FILE_000000000027828/f1b82df338c008df7
- 공무원은 왜 무능한가? 부패의 뿌리는 무엇인가?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malchus/223721768126
- singa2 님의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inga2.tistory.com/
- Competency Standards and Examination/Assessment - Singapore Pharmacy Council,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pc.gov.sg/for-professionals/registered-pharmacists/standards-exams/competency-standards-and-examination-assessment
- Competency Framework - Singapore - tac group,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tacgroup.com.sg/wp-content/uploads/2022/08/Book20220Competency20Framework_SinglePage_compressed.pdf
- A Guidebook on - CompetenCy-based Framework For Civil serviCe - RCSC,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rcsc.gov.bt/wp-content/uploads/2025/02/Competency-Framework-Guidebook.pdf
- Mental Health Competency Framework - Singapore - AIC,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ic.sg/wp-content/uploads/2023/06/Mental-Health-Competency-Framework.pdf
- DPO Competency Framework and Training Roadmap - PDPC,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pdpc.gov.sg/help-and-resources/2020/03/dpo-competency-framework-and-training-roadmap
- The Public Service Commission (PSC) Scholarship in Singapore 2025,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ingaporeassignmenthelp.com/blogs/psc-scholarship-in-singapore/
- Psychometric test - CMPB,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mpb.gov.sg/before-ns/pre-enlistment-process/medical-screening-and-psychometric-test/psychometric-test
- PSC Scholarships Application Guide (Senior's Edition) - Public Service Commission Singapor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psc.gov.sg/docs/librariesprovider2/default-document-library/guides/psc_application-guide.pdf?sfvrsn=ff3567f7_2
- MHA Scholarship Application Process - Ministry of Home Affairs (MHA),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ha.gov.sg/careers/mha-scholarships/how-to-apply
- What These 2 Doctors Have to Say About the PSC Medicine/Dentistry Scholarship,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healthcarescholarships.sg/ScholarStories/Pages/What-These-2-Doctors-Have-to-Say-About-the-PSC-Medicine-Dentistry-Scholarship.aspx
- Seeing Through the Psychometric Test - gradsingapor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radsingapore.com/graduate-careers-advice/assessment-centres/seeing-through-the-psychometric-test
- tjchighed / Scholarships - PSC - PBworks,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tjchighed.pbworks.com/w/page/20002426/Scholarships%C2%A0-%C2%A0PSC
- www.evaluation.go.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valuation.go.kr/upload2/atch/eval/20230307142729966.pdf
- 파주시, 지방공무원 면접시험에 '인공지능(AI)' 활용 - 법률저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7331
- 면접 파주시, 지방공무원 면접시험에 '인공지능(AI)' 활용 - 공무원 수험정보 사이트, 메가공무원 합격전략연구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ab.megagong.net/l/gong/news/view.asp?schExtra1=1&schExtra3=&idx=69515&searchkey=&searchword=&page=6
- 파주시 '2024년 공개채용 면접시험' 개선…AI 활용, 심층면접으로 조직 적응력 평가 - 중앙신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joongang.tv/news/articleView.html?idxno=74138
- cpdcenter.re.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cpdcenter.re.kr/cdn/upload/board/NRC_%ED%98%91%EB%8F%99%EC%97%B0%EA%B5%AC_AI%EB%A5%BC_%ED%99%9C%EC%9A%A9%ED%95%9C_%EA%B3%B5%EA%B3%B5%EB%B6%80%EB%AC%B8_%EC%9D%B8%EC%9E%AC%EC%B1%84%EC%9A%A9%EA%B3%BC%EC%A0%95%EC%97%90%EC%84%9C%EC%9D%98_%EA%B3%B5%EA%B3%B5%EA%B0%80%EC%B9%98_%EC%A6%9D%EC%A7%84%EB%B0%A9%EC%95%88_%ED%96%89%EC%A0%95%EC%97%B0_(1).pdf
- 경찰, 공무원 선발에 AI 활용 방안 연구..."공정성·효율성 증대 방향 모색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626000717
- AI인적성·AI면접 :: 1일 준비하고 합격한 리얼 후기 (1)준비방법 - 네이버 블로그 - NAVE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leenayoon1019&logNo=222282888910
- 학회자료 > 학회보 >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부처별 자율채용제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kgovernance.com/bbs/board.php?bo_table=data_journal&wr_id=302&page=19
- 공무원 채용제도에 따른 개선점을 국민의 소리로 직접 듣다 ! - 공지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cafe.daum.net/south88/ElV/116?listURI=%2Fsouth88%2FElV
- 20220308105943855.pdf - 정부업무평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valuation.go.kr/upload2/atch/eval/20220308105943855.pdf
- 자료실 < 사업 연구보고서 < 사업소개 < 한국산업인력공단 채용분야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hrdkorea.or.kr/1/8/1?k=53482
- 면접에서의 AI 활용에 관한 연구 -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b1f6ea7b6a08e72b7998d826d417196
- 채용절차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차별 문제 - RISS 검색 - 국내학술지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b70042d206ecea9e9810257f7042666
- 수원시, AI 활용 인사정보관리시스템 구축 - 뉴스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402000255
- 보도자료 조회 < 언론 보도자료 < 새소식 < 인사혁신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pm.go.kr/mpm/comm/newsPress/newsPressRelease/?boardId=bbs_0000000000000029&mode=view&cntId=4011&category=&pageIdx=
- training.go.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training.go.kr/htmi/Report/TD0392TR0221016/20240723DH79ZU1m.pdf?saveas=%5Be3%5DqNeBj7uTV8dRXA1UiHbCVMIlQwTwDeopEUUqLxzH2zKF_j4e3zVbJb2_Fwlfj1EualY88V5Va7YgmdlOIZAgnB_bX-E7AjnQbLsvmL1VQUlFqkasXltobSOcBLs_Y1EOc_sevqJt-zYW6Qi8X28Ev5jIDFlw%3D%3D
- 프랑스 국가 공무원의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전략, 프랑스행정서비스총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police1965/223617208695
- 인력 관리의 혁신: AI를 활용한 효과적인 보고서 작성법 - Goove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4/go-public-report-ko-33bc05b9-bd13-4440-a29b-a8deee9d3ac7-0-0.html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 - 대한민국 영문법령,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54647&lang=ENG.
- [논문]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10154956
- 사서직공무원 교육훈련 시스템 발전 방안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kci.go.kr/kbiblia/archive/articlePdf?artiId=ART001618961
- 기본연구과제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BaseView.do?gubun=BA&seqNo=BASE_000000000000542
- 클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oda.go.kr/opo/cmcd/comm/downloadFile.do?P_STRE_FILE_NM=9819303F-4477-472F-2627-8538444E4330.pdf
- 연구보고서 -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내용보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KIPA00021742&otpSeq=0&popup=p
- www.cni.re.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03825&seq=1
- 경찰조직에서의 멘토링(Mentoring) 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police.ac.kr/pds/PSI_2009-02_1261467086.pdf
- [논문]소방공무원의 멘토링 기능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117154418490&dbt=NART
- cms.dankook.ac.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cms.dankook.ac.kr/web/dku-/-6?p_p_id=Bbs_WAR_bbsportlet&p_p_lifecycle=2&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acheability=cacheLevelPage&p_p_col_id=column-2&p_p_col_count=1&_Bbs_WAR_bbsportlet_extFileId=137074
- s-space.snu.ac.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75679/1/01601987.pdf
- 지속가능한 조직문화혁신을위한 리더십제고 방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st.re.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8518
- 주요국 정부 조직・인사관리 제도와 사례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23323&fileSn=0
- 신바람 나게 일하는 수평적 조직을 위한 10대 과제 추진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mirae_saram/222432523024
- 공직사회 세대 가치관 변화와 조직혁신 - 기본연구과제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BaseView.do?gubun=BA&se=BA&seqNo=BASE_000000000000687
- [연중 기획] 수평적 조직문화, 사회 전반 확산 … 'OO님 호칭' 신선한 바람 - 씨이오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eo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63
- 협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혁신 해외 사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nnovation.go.kr/ucms/cmmn/file/fileDown.do?menuNo=300252&atchFileId=74d2718b13b7d88bca8979b33347de0d7bee5d0f88ee86dfd792848082a68dd7&fileSn=1
- 국회입조처, 『악성민원 근절, 실효적인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방안』 발간 - 발행물 및 보고서 | 국회소식 | HOM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on.go.kr/naon/articleList/contents.do?menuNo=2400013&storyId=b5a338c0-f71d-4ec5-a910-79c07b4e686e&pageIndex=1&pageListId=naonPart
- 공직복무관리 및 청렴도 향상 대책 - 고용노동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l.go.kr/common/downloadFile.do?file_seq=20240602377&bbs_seq=20240601331&bbs_id=OP1404&file_ext=pdf
- 2023년도 지방공무원 징계업무편람 - 행정안전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td+lGINwJHTftjQAzYP1hwQG.node20?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97725
- www.gplib.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plib.kr/common/file/download.do?fno=8914&type=poc&key=2109105857789
- 내부고발자 보호와 청렴윤리경영 - 국민권익위원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crc.go.kr/briefs/deb1f5cb9635d6fe3facbde56d3b10152ad22eb91b9ec31d502ce2f6a2173625/img/bro.pdf
- 고위공직자범죄등 내부고발자 보호에 관한 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InfoP.do?lsiSeq=219989&efYd=20200715
- 금품 비리 공직자 처벌 강화 | 행정안전부> 뉴스·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oE+gzULNOHsTVLQ2XjCkmzOG.node40?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26059
- 징계제도 - 인사혁신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pm.go.kr/mpm/info/infoService/BizService04
- 부패범죄 특별수사기관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 - 법무정책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kicj.re.kr/board.es?mid=a10101000000&bid=0001&act=view&list_no=13310&nPage=2
- 공직부패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klog.or.kr/data/file/library_journal/1995114106_iA8G92Qu_01_ECB59CEC9888EB8298.pdf
- 추징금징수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 연구보고서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cj.re.kr/board.es?mid=a10101000000&bid=0001&tag=&act=view&list_no=9978
- 공수처 발전 방향 -수사와 기소의 분리·통합의 관점에서-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cio.go.kr/board/download/949c6f7746444e07967ed2aaf23560cf
-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 성과지표(5차),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research.ssu.ac.kr/static/uploads/%EA%B5%AD%EA%B0%80%EC%97%B0%EA%B5%AC%EA%B0%9C%EB%B0%9C%EC%82%AC%EC%97%85_%ED%91%9C%EC%A4%80_%EC%84%B1%EA%B3%BC%EC%A7%80%ED%91%9C(5%EC%B0%A8)_%EC%84%B1%EA%B3%BC%EB%AA%A9%ED%91%9C%C2%B7%EC%A7%80%ED%91%9C_%EC%84%A4%EC%A0%95_%EC%95%88%EB%82%B4%EC%84%9C-%EC%B5%9C%EC%A2%85(%ED%99%88%ED%8E%98%EC%9D%B4%EC%A7%80%EC%9A%A9).pdf
- 한국의 연구 성과 평가 지표 개선 방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ditverse.com/ms/%EC%97%B0%EA%B5%AC-%EC%84%B1%EA%B3%BC-%ED%8F%89%EA%B0%80/
- www.mois.go.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72592UGz7EUD&fileSn=0
-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결과 -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03
- '24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작년 대비 우수기관 증가 - 기획재정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f.go.kr/com/cmm/fms/FileDown.do;jsessionid=qpeGN2tINyeW-zPT8ic_fkuBdSLO_2t0O6b6uMW3.node30?atchFileId=ATCH_000000000028797&fileSn=2
- 포커스_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와 국민체감도 조사 비교분석 - edu.kipf.re.k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jsessionid=D94EA1DECD24C652254D8643AF54190D?atchFileId=FILE_000000000001618&fileSn=0
- 고객만족도 조사실시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osmes.or.kr/nsh/SH/SIT/SHSIT022M0.do
- 2023년도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 - 국립수산과학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ifs.go.kr/cmmnFile/fileDownloadStat.do?FILE_ID=DX5-1731559855148-1
- 분야별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Ⅳ: 재난안전분야를 중심으로 - 연구자료 - 자료마당,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valuation.go.kr/web/board/boardView.do?menu_id=127&bbs_idx=1766&rownum=7¤tPageNo=1&tplt_id=87&org_se=&extends1=&searchCd=&searchWord=
- [보고서]환경변화에 대응한 공무원 보수체계의 개편방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22507
- <팩트체크> 한국 공무원, 연봉으로 상위 7%? - 뉴스톱,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
- "공무원 급여 기업체 83% 수준"…최후의 보루 연금도 불안 [젊은 공무원 엑소더스] | 중앙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539
- [특집] 공무원은 박봉? 대기업 뺨치네! - Dau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00210152625683
- 공무원 보수 추이 -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21
- 공무원 보수체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발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upub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8
- 2022년도 지방출자출연기관 예산편성지침 - 행정안전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102411hQNHGSs&fileSn=0
- 예산안편성지침 및 기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f.go.kr/com/cmm/fms/FileDown.do?atchFileId=ATCH_OLD_00000230040&fileSn=356898
- 재정의 지속가능성 주요국보다 양호하게 재정건전성 유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f.go.kr/com/cmm/fms/FileDown.do?atchFileId=ATCH_000000000019507&fileSn=9
- 신공공관리론의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4243&fileSn=0
- 소방행정의 변화에 따른 소방재정구조 개편방안 - 한국지방세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lf.re.kr/cmm/fms/PDF.do;jsessionid=96C6F95CBC52CA8DD4BC2FB51071C761?atchFileId=FILE_000000000005499&fileSn=0
- 소방안전 재정수요 추계 및 중앙-지방의 합리적 재원 분담방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aok.or.kr/gaok/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275019333509&fileSn=1&bbsId=
- 경영평가 제안모델 - 행정안전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107034bYMeh8t&fileSn=0
- "공무원 1인 연간 평균 유지비용 1억원 넘어"[납세자연맹](종합2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170719045652002
- 정부 '5년간 공무원 채용' 비용 추계치 첫 보고 "18조6000억",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5/2017111503362.html
- 행안위, 정부의 공무원 증원 관련 예산 두고 공방벌여 - 인뉴스TV,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i-innews.com/4217
- [전체] / [제목+내용+첨부] 에서 2003.01.01 ~ 2017.11.03 기준으로 - 국회예산정책처, 통합검색,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ub/04Etc/04_Search.jsp?startCount=0&sort=RANK&range=A&startDate=2003.01.01&endDate=2017.11.03&searchField=ALL&autospacing=off&reQuery=&realQuery=+&collection=ALL&viewCount=10&category=&categoryIndex=&categoryQuery=&DateSort=ASC&View_countSort=ASC&query=+&search2=+&query_basic=+&query_qout=&query_and=&query_ban=&stDate=2003.01.01&enDate=2017.11.03&query_mob=+
- [실패한 J노믹스]② 임금·연금, 혈세로 지급하는 공무원 13만명 늘려…국민 1인당 부담, 年 150만원씩 급증 - 조선비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2/04/20/HZWIRJGXGNHPTDC3EPPM647JJA/
- 법안비용추계 이해와 실제 - 법무법인(유) 세종,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kim.com/newsletter/2024/GA/2024_vol254/links/2024_vol254_404.pdf
- 지방공무원 - 정원 - 조례 - 부안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uan.go.kr/schedule/SynapViewer.buan?boardId=BBS_0000054&menuCd=DOM_000000103002001000&paging=ok&startPage=851&searchStartDt=2016-02-01&searchEndDt=2016-02-29&dataSid=74652&command=update&fileSid=85570&isHtml5=true
- 법안비용추계제도에 대한 국회의 인식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11166&fSHC=&fName=%EB%B2%95%EC%95%88%EB%B9%84%EC%9A%A9%EC%B6%94%EA%B3%84%EC%A0%9C%EB%8F%84%EC%97%90+%EB%8C%80%ED%95%9C+%EA%B5%AD%ED%9A%8C%EC%9D%98+%EC%9D%B8%EC%8B%9D%EC%A1%B0%EC%82%AC+%EB%B0%8F+%EA%B0%9C%EC%84%A0%EB%B0%A9%EC%95%88+%EC%97%B0%EA%B5%AC.pdf&fMime=application/pdf&fBid=19&flag=bluenet
- 재정건전성 회복을 위한 중장기 재정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9753&fName=%EC%9E%AC%EC%A0%95%EA%B1%B4%EC%A0%84%EC%84%B1%20%ED%9A%8C%EB%B3%B5%EC%9D%84%20%EC%9C%84%ED%95%9C%20%EC%A4%91%EC%9E%A5%EA%B8%B0%20%EC%9E%AC%EC%A0%95%EC%9A%B4%EC%9A%A9%EB%B0%A9%EC%95%88%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pdf&fBid=19&flag=bluenet
- 국회의 예산편성권과 예산정책처의 새로운 위상 확보방안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9757&fSHC=&fName=%EA%B5%AD%ED%9A%8C%EC%9D%98+%EC%98%88%EC%82%B0%ED%8E%B8%EC%84%B1%EA%B6%8C%EA%B3%BC+%EC%98%88%EC%82%B0%EC%A0%95%EC%B1%85%EC%B2%98%EC%9D%98+%EC%83%88%EB%A1%9C%EC%9A%B4+%EC%9C%84%EC%83%81+%ED%99%95%EB%B3%B4%EB%B0%A9%EC%95%88+%EC%97%B0%EA%B5%AC.pdf&fMime=application/pdf&fBid=19&flag=bluenet
- 코로나 19 이후의 주요국의 재정건전성 개선 정책사례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33318381&fSHC=&fName=%EC%BD%94%EB%A1%9C%EB%82%98+19+%EC%9D%B4%ED%9B%84%EC%9D%98+%EC%A3%BC%EC%9A%94%EA%B5%AD%EC%9D%98+%EC%9E%AC%EC%A0%95%EA%B1%B4%EC%A0%84%EC%84%B1+%EA%B0%9C%EC%84%A0+%EC%A0%95%EC%B1%85%EC%82%AC%EB%A1%80+%EC%97%B0%EA%B5%AC.pdf&fMime=application/pdf&fBid=19&flag=bluenet
- [안내] 사업장 업무연속성계획(BCP) 작성 가이드라인 안내 - 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l.go.kr/local/seoul/news/notice/noticeView.do?bbs_seq=20220200006
- [안내] 사업장 업무연속성계획(BCP) 작성 가이드라인 안내 -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l.go.kr/local/seongnam/news/notice/noticeView.do?bbs_seq=20220200666
- 정보공개제도란?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irs.go.kr/subN01/sub01_101.jsp
- 위기·재난·안전관리 업무에 관한 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31717
- 위기관리상황실 운영 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000000056187
- 국가위기관리체계의 문제와 관료사회 부패문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15900&seq=5
-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자연재난실> 위기관리 매뉴얼,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frt/sub/a06/b11/crisisManual/screen.do
-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frt/sub/a06/b11/disasterManager/screen.do
- NSC, 국가위기 경보시스템 구축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65062417
- [보고서]범정부적 국가위기·재난관리시스템 연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500000806
- 기본연구과제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BaseView.do?gubun=BA&seqNo=BASE_000000000000654
- 보도자료 조회 < 언론 보도자료 < 새소식 < 인사혁신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pm.go.kr/mpm/comm/newsPress/newsPressRelease/?boardId=bbs_0000000000000029&mode=view&cntId=3212&category=&pageIdx=
- 공공봉사동기 연구의 성과와 과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igs.korea.ac.kr/igs/book/search.do?mode=download&articleNo=164751&attachNo=144797&totalNoticeYn=&totalBoardNo=
- 인간과 문화 연구 - 동의대학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usiness1.deu.ac.kr/www/deu-rnd-humanities-thesis.do?mode=download&articleNo=59562&attachNo=88715
- 제25권 제3호 (통권 84호) / 2020. 9 - 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orldview.or.kr/library/series/faith-and-scholarship/download/293/13536/%ED%95%A9%EB%B3%B8_%EC%8B%A0%EC%95%99%EA%B3%BC%ED%95%99%EB%AC%B8%2025-3.pdf
- 언어이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orbi.kr/download/united/32973126/1
- 인사혁신처 1 선제적 조치 - 소통24,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otong.go.kr/commonfile/downloadQustnrAtchmnfl.do?atchmnfl_id=3ca2784112bd422390700e9e703bc16c
- [보고서]정부 인사행정 발전방안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600016401
- 몽골 성과주의 확립을 위한 인사행정 역량강화사업 (2022~2025/300만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oda.go.kr/opo/cmcd/comm/downloadFile.do?P_STRE_FILE_NM=60FD135A-ECC9-7B62-4496-9F3DBAFD83E1.pdf
- AI시대에는 민간인 전문가의 공무원 특채 늘어난다 - 굿잡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goodjobnews.co.kr/m/page/view.php?no=4438
- 중국과 한국의 국가 공무원 채용제도 비교연구 - DSpace@EWHA,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22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PublishView.do?gubun=PA&pblcteId=PUBL_000000000000940
- 국가별 공공부문 AI 도입 및 활용 전략 - 정부혁신,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nnovation.go.kr/ucms/cmmn/file/fileDown.do?menuNo=300252&atchFileId=74d2718b13b7d88bca8979b33347de0dbaf59c6aa5a852051476c2e09c68c014&fileSn=1
- 미국 공무원 - 나무위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AF%B8%EA%B5%AD%20%EA%B3%B5%EB%AC%B4%EC%9B%90
- [논문]한국 공무원 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시험제도의 정치 사회적 효과를 중심으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2928480
- 데이터기반행정의 현황 및 발전방안 데이터 분석 및 : 활용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지식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know.or.kr/kr/Api/FileApi/Download/3003
- <정책학>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 티스토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anttu.tistory.com/entry/%EC%A0%95%EC%B1%85%ED%95%99-%EC%9C%84%EA%B3%84%EC%A0%90
- 강소국가 싱가포르, 우수한 공무원 교육제도가 밑받침 - 지방정부 티비유, tvU,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voiceofus.co.kr/mobile/article.html?no=11815
- 공무국외출장 계획서 (2019년 싱가포르 협동조합 제도 및 정책사례 연구) - Scribd,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662980207/%EA%B3%B5%EB%AC%B4%EA%B5%AD%EC%99%B8%EC%B6%9C%EC%9E%A5-%EA%B3%84%ED%9A%8D%EC%84%9C-2019%EB%85%84-%EC%8B%B1%EA%B0%80%ED%8F%AC%EB%A5%B4-%ED%98%91%EB%8F%99%EC%A1%B0%ED%95%A9-%EC%A0%9C%EB%8F%84-%EB%B0%8F-%EC%A0%95%EC%B1%85%EC%82%AC%EB%A1%80-%EC%97%B0%EA%B5%AC
- An Empirical Study on Public Service Recruitment System and Public Sector Corruption,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kdijep.org/v.34/4/157/An+Empirical+Study+on+Public+Service+Recruitment+System+and+Public+Sector
- 공무원 - 나무위키:대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3%B5%EB%AC%B4%EC%9B%90
- 정부 교육훈련기관 기능·인력 효율화 방안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l.go.kr/NL/onlineFileIdDownload.do?fileId=FILE-00008147149
-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변화저항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역량의 매개효과,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24751&fileSn=1
- 2024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실시계획 | 전체 - 국민권익위원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crc.go.kr/board.es?mid=a10106050000&bid=36&act=view&list_no=71330&tag=&nPage=1
- 아시아 주요국 공기업 현황과 성과관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5061&fileSn=0
- 원산지 관리 - 관세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ustoms.go.kr/download/ftaportalkor/ebook/FTA-20201217_2/autoalbum/page/201216132934808/RealData/bsc-gbook.pdf
- 서울시 공무원 경력개발제도 도입방안 - 서울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i.re.kr/sites/default/files/2009-PR-37_0.pdf
- 2024 Investment Window into Indonesia (IWI) - Deloitt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Deloitte/id/Documents/about-deloitte/id-about-investment-window-into-indonesia-2024-ko.pdf
- 아시아 3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활성화 방안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occa.kr/knowledge/research/__icsFiles/afieldfile/2012/07/31/animation.pdf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조직역량강화 방안 마련 정책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cio.go.kr/board/download/358da06743264af892378a4523b3746c
- RBM - 해양수산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f.go.kr/jfile/readDownloadFile.do?fileType=MOF_ARTICLE&fileTypeSeq=19254&fileNum=3
- 물분야 공공기관 전문컨설팅 일자리 확대 공동정책 연구 - 한국수자원공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water.or.kr/kiwe/resu/reportDown.do?otxt_atchfl_id=LIB20070915320366148&fileSeq=1
- 행정학에서의 베이지안 방법론의 유용성 탐색 - 한국행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a.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5428&fileSn=2
- 국회예산정책처 > 보고서 > 분석보고서 > 전체 >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ub/01Report/01_01_Board.jsp?funcSUB=view&bid=19&arg_cid1=0&arg_cid2=0&arg_class_id=0¤tPageSUB=50&pageSizeSUB=20&key_typeSUB=&keySUB=&search_start_dateSUB=&search_end_dateSUB=&row_mode=argue&sortBy=count&ascOrDesc=asc&item_id=5092&etc_cate1=&etc_cate2=&department=0&department_sub=0&search_key1=&etc_1=0&etc_2=0&tag_key=&name=null&name2=0&arg_id=5163
- 주요국의 공무원 임금교섭 제도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jsessionid=EDCB458D1414AD2B528FDFCDB64E9540?atchFileId=FILE_000000000006053&fileSn=0
- 해외 주요국의 연금개혁 심층 사례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list_no=0&act=view&nPage=1&otp_id=OTP_0000000000012245
- 공무원 인사제도의 유형과 차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igs.korea.ac.kr/igs/book/search.do?mode=download&articleNo=164819&attachNo=144841&totalNoticeYn=&totalBoardNo=
- 해외 공공기관 관리기구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10907&fSHC=&fName=%ED%95%B4%EC%99%B8+%EA%B3%B5%EA%B3%B5%EA%B8%B0%EA%B4%80+%EA%B4%80%EB%A6%AC%EA%B8%B0%EA%B5%AC+%EC%97%B0%EA%B5%AC.pdf&fMime=application/pdf&fBid=19&flag=bluenet
- 2024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 더브이씨,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rant-documents.thevc.kr/205909_%EB%B6%99%EC%9E%844_%EC%9D%BC%EB%B0%98%EC%82%AC%EC%97%85%EB%B9%84+%EB%AA%A9%EB%B3%84+%EB%A7%A4%EB%89%B4%EC%96%BC_2024%EB%85%84%EB%8F%84+%EC%98%88%EC%82%B0%EC%95%88+%ED%8E%B8%EC%84%B1+%EB%B0%8F+%EA%B8%B0%EA%B8%88%EC%9A%B4%EC%9A%A9%EA%B3%84%ED%9A%8D%EC%95%88+%EC%9E%91%EC%84%B1+%EC%84%B8%EB%B6%80%EC%A7%80%EC%B9%A8(%EC%B5%9C%EC%A2%85%EB%B3%B8)_.pdf
- 지방재정 분석 - 세종특별자치시의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council.sejong.go.kr/upload/etcnews/20240812021224206-05433.pdf
- 재정 건전성 | (상세) | 한국은행 홈페이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18/view.do?nttId=10017204&menuNo=200&pageIndex=26
- 방위산업비리(방산비리)범죄의 처벌 강화 및 억제 방안 - 법무정책연구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cj.re.kr/boardDownload.es?bid=0029&list_no=12408&seq=1
- Business Integrity Society Archives - Page 5 of 6 - UN Global Compact Network Korea - 유엔글로벌콤팩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unglobalcompact.kr/category/business-integrity-society/page/5/
- 공통 - 행정안전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43730&fileSn=0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e > 결정례관리 > 결정례 상세 조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case.humanrights.go.kr/dici/diciSearchView.do?search_data=407f8c9291da3afe322903ce3d86d22a%EA%B5%AD
- 헌법재판소 공무원 규칙 - 국가법령정보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aw.go.kr/lsSc.do?menuId=1&subMenuId=23&tabMenuId=123&eventGubun=060103&query=%ED%97%8C%EB%B2%95%EC%9E%AC%ED%8C%90%EC%86%8C+%EA%B3%B5%EB%AC%B4%EC%9B%90+%EA%B7%9C%EC%B9%99
- 한국과 미국의 부패방지 법제 연구 2021년 6월 법 제 처 김 금 련,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orld.moleg.go.kr/cms/commonDown.do?DLD_CFM_NO=3OMGKIIBH8OYWYOLAS5X&FL_SEQ=66745
- 인공지능에 근거한 행정처분에 대한 사법심사이론 연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jpri.scourt.go.kr/fileDownLoad.do?seq=2608
- 행정업무의 운영 및 혁신에 관한 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D%96%89%EC%A0%95%EC%97%85%EB%AC%B4%EC%9D%98+%EC%9A%B4%EC%98%81+%EB%B0%8F+%ED%98%81%EC%8B%A0%EC%97%90+%EA%B4%80%ED%95%9C+%EA%B7%9C%EC%A0%95
- 정부의 재정분권 추진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 전략 연구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gri_blog/221804708953
- 1월 1, 1970에 액세스,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9753&fName=%EC%9E%AC%EC%A0%95%EA%B1%B4%EC%A0%84%EC%84%B1%20%ED%9A%8C%EB%B3%B5%EC%9D%84%20%EC%9C%84%ED%95%9C%20%EC%A4%91%EC%9E%A5%EA%B8%B0%20%EC%9E%AC%EC%A0%95%EC%9A%B4%EC%9A%A9%EB%B0%A9%EC%95%88%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pdf&fMime=application/pdf&fBid=19&flag=bluenet
'Posi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법률상 개인정보의 가치, 기업의 보호 책임 및 법적 책임에 대한 심층 분석 보고서 (0) | 2025.05.05 |
---|---|
SKT 유심(USIM) 유출 사건의 국가적 중대성 및 미국 주요 사례 비교 분석 기반 보상 시나리오 연구 보고서 (2) | 2025.05.04 |
주요 정치 관련 사건 수사 및 재판의 공정성·형평성 검증 (2) | 2025.05.03 |
위기의 민주당: '카르텔' 공세와 이재명 현상 분석 보고서 (0) | 2025.05.03 |
SK 정보 유출 사건 심층 분석 보고서: 기술적 특성, 법적 책임 및 소비자 대응 방안 (0) | 2025.05.02 |